직장인들의 꿀 같은 휴식, 바로 '연차휴가'죠!
하지만 내 연차 일수 계산부터 수당, 사용 촉진 제도까지, 솔직히 머리 아프셨죠?
이제 걱정 끝! 이 글 하나면 연차휴가 A to Z, 완벽 마스터 가능합니다!
연차휴가, 미리 알고 똑소리 나게 챙기자구요!
1. 연차 유급휴가, 제대로 알고 쓰자!
1.1 연차 유급휴가란 무엇일까요?
연차 유급휴가! 이름만 들어도 설렘 가득한 이 단어, 뭘까요?
바로 근로기준법이 보장하는 여러분의 권리입니다!
1년 동안 열심히 일한 근로자에게 꿀맛 같은 휴식과 급여, 두 마리 토끼를 잡게 해주는 제도죠!
1년간 80% 이상 출근했다면? 15일의 유급휴가 획득!
1년 미만 근무했거나 출근율이 조금 부족해도 괜찮아요!
1개월 개근 시 1일씩 유급휴가가 생깁니다.
신입사원이라면 입사 첫해 최대 11일까지 사용 가능하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
1.2 육아휴직과 연차휴가, 둘 다 놓칠 수 없죠!
육아휴직? 연차에 포함될까? 궁금하셨죠?
정답은 YES! 육아휴직 기간도 출근한 것으로 쳐준답니다.
육아휴직 후 복직하면, 육아휴직 기간까지 몽땅 포함해서 연차휴가 일수 계산! 육아도 하고, 연차도 챙기고! 일석이조!
2. 내 연차휴가 일수, 몇 일일까?
2.1 연차휴가 계산법, 이것만 알면 끝!
연차 일수? 근속연수에 따라 쑥쑥!
3년 차부터 2년마다 하루씩 늘어나 최대 25일까지! 계산법, 어렵지 않아요~
연차휴가 일수 = 15일 + (근속연수 - 1년) / 2 (소수점 이하는 버림)
예를 들어
5년 차 근로자라면? 15일 + (5년 - 1년) / 2 = 17일!
6년 차 근로자라면? 15일 + (6년 - 1년) / 2 = 17.5 > 0.5를 버려 17일! 참 쉽죠?
< 근속연수연차휴가 일수 계산 >
근속 년수 | 연차 일수 |
1년 미만 | 1개월 만근시 1개월 추가로 최대 11일 |
1년 | 15일 |
2년 | 15일 |
3년 | 16일 |
4년 | 16일 |
⋯ | ⋯ |
21년 이상 | 25일 |
2.2 신입사원 연차휴가, 얼마나 쓸 수 있을까?
신입사원도 연차 쓸 수 있다는 거, 아셨나요?!
입사 1년 차에는 최대 11일! 2년 차에는 15일에 1년 차 미사용분까지 더하면 최대 26일까지 가능!
입사 초부터 꿀 같은 휴식, 놓치지 마세요!
3. 연차휴가 사용 촉진 제도, 똑똑하게 활용하기!
3.1 회사의 의무, 꼼꼼히 확인하자!
회사는 여러분의 연차 사용을 도와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다음 절차대로 진행했는데도 연차를 안 썼다면?
회사는 연차수당 지급 의무에서 벗어날 수 있어요! 꼭 기억해 두세요!
1단계: 연차 사용 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 남은 휴가 일수 알려주고, 언제 쓸 건지 회사에 알려달라고 서면으로 요청해야 합니다.
2단계: 1단계에서 10일 안에 답이 없다면? 기간 끝나기 2개월 전까지 회사가 사용 날짜 정해서 서면으로 알려줘야 합니다. 회사가 이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면, 연차수당 꼭 받으세요!
4. 연차수당, 계산부터 지급까지!
4.1 연차수당 계산법, 완벽 마스터!
못 쓴 연차? 수당으로 돌려받자! 하지만 연차휴가 사용 촉진 제도에 따라 지급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명심 또 명심!
연차수당 = 1일 통상임금 × 미사용 연차휴가 일수
통상임금? 시간급, 일급, 주급, 월급 등을 1개월 단위로 계산한 금액! 복잡하다면? 회사 인사팀이나 노무사에게 SOS!
4.2 통상임금, 제대로 알고 계산하자!
연차수당의 기준이 되는 통상임금! 정확히 뭘까요?
기본급 외에도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연차수당, 그리고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까지 포함될 수 있답니다!
계산이 복잡하다면? 급여명세서 꼼꼼히 확인하고, 필요하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3 연차수당 지급 시기, 언제 받을 수 있을까?
연차수당, 언제 받을 수 있을까요?
보통 퇴사할 때나 회계연도 종료 후에 지급! 하지만 회사 내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으니 꼼꼼히 확인!
혹시 지급이 늦어진다면? 지급일 이후부터 지급일까지의 이자도 함께 청구할 수 있습니다!
5. 연차휴가, 궁금증 해결 Q&A!
Q. 연차, 아무 때나 막 써도 될까요?
A. 원칙적으론 OK! 하지만 회사 사정, 동료들 휴가 계획 고려해서 조정해야 할 수도 있어요. 서로 배려하는 마음, 중요하겠죠?
Q. 연차 쓰다가 갑자기 아프면? 병가 처리?
A. 연차 중 아프면? 연차에서 빼고 병가로 처리! 증빙서류 제출하면 사용한 연차 일수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Q. 회사가 연차 못 쓰게 하면 어떡하죠?
A. 고용노동부에 진정! 또는 노무사 상담! 정당한 권리, 당당하게 주장하세요!
자, 이제 연차휴가, 완전 정복! 연차휴가는 여러분의 당연한 권리입니다.
똑똑하게 계산하고, 알차게 사용해서 에너지 뿜뿜 충전하는 시간 가지세요!
(키워드: 연차휴가, 연차계산법, 연차수당, 연차촉진제, 연차휴가일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12월 세무일정 총정리 놓치면 손해! (3) | 2024.11.27 |
---|---|
공적조서 작성법 완벽 가이드 (2) | 2024.11.26 |
프리랜서 해촉증명서 발급방법, 건보료 절약 팁! (1) | 2024.11.26 |
국민연금 수령중 재취업 감액 정지 기준 (1) | 2024.11.25 |
국민연금 압류 가능여부 및 해결방법 (2) | 2024.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