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공문서 작성법 쉽고 정확하게 쓰는 팁(예시 포함)

by 직노 2024. 11. 28.
반응형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는 공문서 작성, 어렵다고 느끼시나요? 천만에 말씀입니다!

핵심 요소와 몇 가지 팁만 숙지하면 누구든 명확하고 효과적인 공문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공문 예시와 함께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작성법을 자세히 안내합니다. 공

문서 작성, 이제 걱정 말고 시작해 보세요!

1. 공문서, 왜 작성해야 할까요? 

 

단순한 문서 작업으로 치부하기 쉬운 공문서!

하지만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공문서는 기관 간 공식적인 의사소통의 핵심 도구이자 법적 효력을 갖는 중요한 기록물입니다.

명확한 공문서 작성은 업무 효율을 높이고, 불필요한 오해나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뿐만 아니라, 기관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공문서 작성의 중요성

  • 업무 효율성 증대: 정확한 정보 전달로 업무 처리 속도 향상 및 오류 최소화
  • 법적 효력 보장: 공식 문서로서의 법적 구속력 확보 및 분쟁 발생 시 중요한 증거 자료로 활용
  • 기관 신뢰도 향상: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공문서 작성을 통해 기관의 이미지 제고 및 대외 신뢰도 강화
  • 리스크 관리: 명확한 의사소통으로 잠재적 분쟁 및 리스크 사전 예방
  • 투명성 확보: 정보 공유 및 의사결정 과정의 투명성 확보를 통해 책임감 있는 기관 운영

2. 공문서 작성의 핵심, 3가지 요소 

 

공문서 작성,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걱정 마세요!

모든 공문서는 '두문', '본문', '결문'의 3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됩니다.

이 3가지 요소만 제대로 이해하면 공문서 작성, 더 이상 어렵지 않습니다!

1) 두문: 공문서의 첫인상!

두문은 공문서의 얼굴과 같습니다. 발신 기관, 문서 번호, 시행일자, 수신자 등 핵심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수신자가 누구인지, 어떤 경로로 문서가 전달되었는지 명확하게 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유 기관이 있다면 순서대로 정확하게 기재해야 합니다.

마치 이정표처럼, 문서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명확히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2) 본문: 내용의 핵심!

본문은 공문서의 핵심 내용을 담는 부분입니다. 

간결하고 명확하게 작성해야 효과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합니다.

육하원칙(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에 따라 핵심 내용을 빠짐없이 전달하고, 모호한 표현이나 불필요한 설명은 피해야 합니다.

마치 잘 짜인 스토리처럼, 핵심 메시지를 논리적으로 전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도와야 합니다.

표, 그림, 그래프 등을 활용하여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결문: 깔끔한 마무리!

결문은 공문서의 마무리를 담당하는 부분입니다.

발신 명의, 담당자 연락처, 협조자, 결재권자 등의 정보를 기재합니다.

붙임 문서가 있다면 파일명과 페이지 수를 정확하게 표시하고, 공개 여부를 명시하여 정보 관리에도 신경 써야 합니다.

마치 깔끔한 마무리처럼, 공문서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다양한 공문 예시로 알아보는 작성법 

 

백문이 불여일견! 이제 실제 공문 예시를 통해 작성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다양한 상황에 맞는 공문 예시를 통해 실무 감각을 키워보세요!

1) 업무 협조 요청 공문

(두문)

  • 발신: A기업 홍보팀
  • 수신: B기업 마케팅팀장
  • 참조: A기업 기획팀장
  • 시행일자: 2024. 10. 27
  • 문서번호: A기업-홍보-2024-10-002

(본문)

제목: 신제품 홍보 관련 업무 협조 요청의 건

  1. 귀사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당사는 2024년 11월 15일 신제품 'OOO'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출시와 관련하여 귀사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드립니다.
  3. 상세 협조 요청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제품 홍보 자료 공유 및 배포
    • 공동 마케팅 전략 기획 및 실행 (온/오프라인 포함)
    • 귀사의 온라인 홍보 채널 활용 지원 (SNS, 웹사이트 등)
  4. 본 협조 건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을 기대하며, 향후 양사 간 시너지 창출을 위한 협력 관계 구축을 희망합니다.

(결문)

  • 붙임: 신제품 홍보 계획서 1부.
  • 담당자: A기업 홍보팀 김OO (010-XXXX-XXXX, kimoo@acompany.com)

2) 인사 발령 공문

(두문)

  • 발신: C기업 인사팀
  • 수신: 전 직원
  • 시행일자: 2024. 10. 27
  • 문서번호: C기업-인사-2024-10-003

(본문)

제목: 2024년 11월 정기 인사 발령 안내

아래와 같이 2024년 11월 정기 인사 발령을 실시합니다.

성명부서직위발령일비고

홍길동 영업팀 팀장 2024. 11. 01 -
김철수 마케팅팀 부장 2024. 11. 01 승진
이영희 기획팀 차장 2024. 11. 01 -
박민수 인사팀 사원 2024. 11. 15 신규 입사

(결문)

3) 행사 안내 공문

(두문)

  • 발신: D기업 대표이사
  • 수신: 거래처 관계자
  • 시행일자: 2024. 10. 27
  • 문서번호: D기업-대표-2024-10-004

(본문)

제목: D기업 창립 10주년 기념행사 초청의 건

  1. 귀사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당사는 창립 10주년을 맞이하여 아래와 같이 기념행사를 개최합니다. 뜻깊은 자리에 귀빈을 모시고자 하오니, 부디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주시기 바랍니다.
  • 일시: 2024년 11월 10일(토) 오후 2시
  • 장소: 서울 그랜드 호텔 컨벤션홀
  • 프로그램: 기념사, 축사, 만찬, 축하 공연 등

(결문)

4. 공문서 작성, 이것만은 꼭 기억하세요! 

 

공문서 작성, 이제 어렵지 않으시죠? 하지만, 완벽한 공문서를 위해 꼭 기억해야 할 핵심 사항들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공문서 작성 시 꼭 기억해야 할 5가지 핵심 사항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공문서 작성 5대 핵심 사항

  • 정확성: 오탈자나 문법 오류는 물론, 정보의 정확성까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숫자, 날짜, 금액 등은 특히 주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작은 오류 하나가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
  • 간결성: 핵심 내용만 간결하게 전달해야 합니다. 불필요한 미사여구나 장황한 설명은 오히려 독자의 이해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짧고 굵게" 가 공문서 작성의 황금률입니다.
  • 객관성: 사적인 감정이나 의견은 배제하고, 객관적인 사실만을 기반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공문서는 개인적인 의견을 표출하는 자리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세요!
  • 공식성: 공식적인 문서임을 잊지 않고, 격식을 갖춰 작성해야 합니다.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 부호 등 기본적인 맞춤법 규칙을 준수하고, 공문서에 적합한 공식적인 어투를 사용해야 합니다.
  • 일관성: 문장 표현, 용어 사용, 숫자 표기 등에서 일관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통일된 형식을 유지해야 전문성을 높이고 독자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공문서 작성, 이제 자신감을 가지고 시작해 보세요! 제공된 예시와 팁들을 활용하여 실무에 적용해 보세요.

여러분의 업무 효율 향상을 응원합니다! 

 

반응형